전체 글

전체 글

    OKR, 존도어

    OKR, 존도어

    OKR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OKR을 정하는지, OKR을 적용한 사례 등 OKR과 관련된 이야기들을 담은 책이다. OKR은 Objectives(목표), Key Results(핵심결과)의 약자로 기업이 경영 계획을 세울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목적을 세우고 실행하는 방식에 대한 프레임워크라고 볼 수 있다. OKR 자체나 원칙을 설명하는 분량은 많지 않고 OKR을 적용한 여러 사례들이 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OKR 예시 (인텔) 목표: 모토롤라 6800과 비교하여 8080의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기 핵심결과: 1. 5가지 벤치마킹 작성 2. 데모 개발 3. 현장 근로자를 위한 세일즈 교육 자료 개발 4. 고객 업체 세 군데를 방문하여 자료의 유연성 확인 Objectives(목표)는 말 그대로 달성하고자..

    열혈강의 파이썬 - 이강성

    열혈강의 파이썬 - 이강성

    요즘 로버트 C. 마틴의 클린 코드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책에서 예시로 쓰이는 자바를 전혀 모르니 옛날에 사둔 "난 정말 JAVA를 공부한적이 없다구요"라는 책으로 문법과 기본적인 개념들을 익히고 있었다. (2009년에 나온 책이다. 어차피 클린코드도 2008년에 나온 책이니 어찌보면 아주 적절한 공부 자료다.) 그러다 문득 예전에 파이썬 책도 샀던 기억이 나서 "열혈강의 파이썬"을 꺼내봤다. 이 책은 무려 2005년도에 출판된 책이다. 내가 이 책을 샀을 때가 아마 2013~2014년 즈음일테니 이미 8~9년이 지난 상황이고 이 책을 보는 현재가 2022년이니 책이 쓰인지는 17년이라는 시간이 흘러버렸다. 무려 파이썬 2.4를 최신으로 소개하고 있는 이 책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이 있을까? 프로..

    [Python] Iterable, Iterator, Generator, yield. [i for i in a]와 (i for i in a)가 다른 이유

    스포일러: Iterable a에 대해 [i for i in a]은 list를 반환하고 (i for i in a)는 Generator를 반환한다. 무엇이 다를까? !주의: Iterable과 Iterator를 잘 구분하여 읽어야 한다. Iterable Iterable는 반복적으로 포함된 요소를 반환할 수 있는 객체이며 list, dict, set, str, bytes, tuple 등이 예시이다. Python에서 Iteratable은 __iter__ method를 포함하는 객체이다. 객체나 인스턴스가 가진 method와 attribute를 출력해주는 dir 함수를 통해 Iterable임을 확인할 수 있다. >>> dir(list) ['__add__', '__class__', '__contains__', '__..

    [kubernetes] kubectl --record, kubectl rollout undo

    --record kubectl 명령어 뒤에 --record나 --record=true를 붙이면 나중에 kubectl rollout history {target deployment}을 했을 때 해당 명령어가 annotation으로 기록되어 있다. kubectl describe deployment ...로도 이 기록들을 확인할 수 있다. rollout undo deployment에 적용한 update를 rollback하는 명령어다. kubectl rollout undo {target deployment}을 하면 최근 업데이트 직전로 deployment가 수정된다. undo를 하면 kubectl rollout history {target deployment}에서 예전 revision이 최신 revision으로..

    [kubernetes] Udemy "Kubernetes for the Absolute Beginners - Hands-on" 강의 리뷰

    [kubernetes] Udemy "Kubernetes for the Absolute Beginners - Hands-on" 강의 리뷰

    강의 내용 요약 강의가 끝난 시점에서 기억나는 내용을 정리해보자면... 단순히 말해 Kubernetes는 Orchestration 프로그램이다. 각각의 기능을 갖고 있는 Pod들을 wrapping하여 관리하고 연결함으로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https://kubernetes.io/ko Kubernetes K8s를 어디서나 실행 쿠버네티스는 오픈소스로서 온-프레미스, 하이브리드, 또는 퍼블릭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를 활용하는 데 자유를 제공하며, 워크로드를 사용자에게 관건이 되는 곳으로 kubernetes.io 예를 들어 Web application을 만든다고 하면 웹 페이지를 띄우는 기능도 필요하고 이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redis, db 등도 필요할 수 있다. 이 때 각 기능들을 Pod으로 ..

    [kubernetes] kubectl create vs apply ... and edit

    요약하자면 kubectl create와 kubectl apply는 모두 생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생성하고자하는 대상이 이미 존재할 때 kubectl create는 에러를 발생시키며 kubectl apply는 이미 존재하는 대상을 apply 하는 내용으로 수정시킨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보자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7369351/kubectl-apply-vs-kubectl-create kubectl apply vs kubectl create? What I understood by the documentation is that: kubectl create Creates a new k8s resource in the cluster kubect..

    번사이드 보조정리(Burnside Lemma)

    구글 foobar challenge라는게 있다는걸 알게 되어서 검색을 해보던 중 foobar challenge 후기 블로그를 찾게 되었다. 해당 블로그에서 마지막 Level 5 문제 관련해서 소개된 내용이다. 대수학의 Group action 개념을 이용해 정의되는 Lemma인데 경우의 수 문제나 코딩 테스트 문제에 많이 언급되는 것 같다. Lemma의 내용은 위 블로그에서 소개한 블로그들에 잘 나와있다. 수학하는 블로그 - 번사이드 보조정리 AlgoShitPo Blog - 번사이드 보조정리 삼성 소프트웨어 멤버쉽 블로그 - 번사이드 보조정리(Burnside Lemma) 셋 다 같은 예시를 두고 내용을 설명하고 있으니 가장 이해가 잘 가는 설명을 찾아보면 된다. (셋 다 증명은 없고 정리의 내용만 설명한다..

    뇌를 읽다, 마음을 읽다

    뇌를 읽다, 마음을 읽다

    요약 우리가 마음의 병이라 부르는 우울증, 조현병 등의 정신질환들이 뇌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으며 뇌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이해하고 치료함으로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는 사실을 전달한다. 후기 마음이 답답하고 해결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 때 즈음 유튜브 광고 영상을 보고 책을 구매하게 되었다. 수많은 위로, 마음돌봄 책들이 있지만 성격상 이과적인 방식으로 내 정서의 문제를 기계 고치듯이 이해하고 해결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이 책을 선택하게 되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책은 나에게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정서 문제가 뇌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는 직간접 치료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알고 있었다. 특히 도파민, 세로토닌 등의 호르몬 기작들도 적당히 알고 있는 상태였기 때문에 뇌와 ..